2021-03-30

0330 오라클 DB 다루기

 1. 현업에서는 프로시저를 쓰는 일도 많다고 함!! 알아두자!! 

2. 프로시저란 ? -> 절차적인 DB언어. 자바 프로그래밍하는것이랑 똑같음

3. 인덱스란 ? -> 더 빠른시간안에 자료를 검색가능. 코스트를 비교! 

    full scan (걍 첨부터 끝까지 다 스캔)/ index range scan (인덱스 내가 만들어서 검색한 스캔) / unique scan(프라이머리키 스캔)

4. 프로시저의 대입 연산자 := 

    declare ( 선언하기 . def같은 느낌? )

        i number := 1; (i라는 number type변수에 1을 넣겠다.)

        name varchar(10) := 'SEOUL'; ( name 이라는 varchar타입의 변수에 'SEOUL'이라는 값을 넣겠다. ) 

        sal number := 0

    begin (실행할 함수 적기)

        while i <=10000000 loop

            if i mod 2 then 

            name := 'SEOUL' || TO_CHAR(i) 

            elsif....

            elsif...

            else ...

            end if;

    insert into emp4(컬럼1,컬럼2,..) values(i, name,,...);

        i:= i+1;

         end loop;

    end; 

5. cost => 옵티마이저가 예상한 비용. 적을수록 빠르다. 수행시간

cardinality => 해당 쿼리문 실행하기위해 access한 row수

6. 인덱스 생성하기

CREATE INDEX 인덱스 이름 ON 테이블이름( 컬럼명...)

7. 인덱스 조회하기

SELECT * FROM USER_INDEXES;

SELECT * FROM USER_INDEXES WHERE TABLE_NAME = '테이블명';

테이블명쓸떄 ''안은 대소문자구분하므로 주의하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

0328 fdisk, mkfs, mount, fstab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