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v파일-> DB데이터에 업데이트하기]
1. csv파일을 다운로드한다
2. 테이블을 생성한다
3. 오라클 디벨롭퍼에서 '데이터 임포트하기' 선택 ( 테이블, 오른쪽 키)
4. 순서에 맞게 원하는 컬럼과 양식을 지정, 삽입해준다
5. 커밋하기
[VIEW만들기]
보안상의 이유 + 성능향상( 빠르다) 로 만들곤한다
CRATE, REPLACE, DROP만 있고 ALTER할수는 없음.
문법 ) CREATE (OR REPLACE ) VIEW 뷰이름 AS
~~~~어쩌구 저쩌구 ;
사용할 때 ) SELECT * FROM 뷰이름;
즉, 그냥 테이블처럼 사용하면 된다!! 원본을 손대지 않고 셀렉트 가능~~ 이 안에서 자유자재로 COUNT .. 컬럼선택등등.. 다 가능함!! 신기하네!
- 뷰만들때 에러남 : SUM집계함수에 ALIAS 안줬다구.. 하긴 그렇군. 컬럼명이 있어야 제대로된(?) 테이블이겠죠.!!
- 뷰와 실제 물리적 테이블을 조인해서 SELECT결과 가져오는것도 가능하다..!!! 오오오 신기하여라. 물리와 논리의 결합. 쿼리문이 좀더 깔끔해진다.. 오오오.
데이터사전( data dictionary) 에서 만든 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인덱스]
인덱스, 뷰 등등이 차지하는 용량이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의 용량중 8:2 정도로 나누어서. 8은 데이터, 나머지 2는 부수적인 것들로 채우곤 함
인덱스란 - 데이터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수단. 조회속도향상. pk는 자동으로 인덱스생성됨
종류 ) full scan ( 너무 오래걸림. 하나부터 끝까지 다 검사),
index range scan (말하자면 목차 스캔. 별도의 메모리가 있어야 함) ,
index unique scan ( 프라이머리키 스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