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30

0330 JDBC연동(드디어~!)

1. 

.java ->내가 가지고 있는원본파일

.class ->배포파일 

.jar -> .class 를 압축해놓은 녀석

외부 라이브러리 => 라이브러리이름.jar 를 다운받아서 쓰면된다

ex) 자바를 이용해서 크롤링을 하고싶어 ->beautifulsoup.jar를 다운받아서 사용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프로그래밍 한다. 

내가 jar를 만들수도 있고, 다른사람이 만든 jar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2.

자바에서 외부 응용 프로그램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마우스와 컴퓨터를 연결. 컴퓨터와 프린터기를 연결하기 위해 드라이버가 필요하듯이- 소프트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기 위해서도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오라클DB와 자바를 연결해서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 드라이버를 통해서 서로의 연결통로를 뚫어주어야 한다. 이러한 드라이버는 - DB에서 제공한다 . 회사에서 드라이버 파일 배포해줌. 해당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가능. 

 but 번외? ) 만일 오라클 server가 설치되어있으면 -> 설치 파일안에 함께 들어있음.


3.

ojdbc 버전 => jdk버전과 관련있음가지고 있는원본파일


.class ->배포파일 


.jar -> .class 를 압축해놓은 녀석


외부 라이브러리 => 라이브러리이름.jar 를 다운받아서 쓰면된다


ex) 자바를 이용해서 크롤링을 하고싶어 ->beautifulsoup.jar를 다운받아서 사용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프로그래밍 한다. 


내가 jar를 만들수도 있고, 다른사람이 만든 jar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4. 

.java파일을 바꾸면 -> .class파일로 compile해야하고 -> 다시 jar로 압축해야하고 -> 다시 배포해야하고,,,

만약에 DB비번을 바꾸면 ? -> 다시 코딩하고 -> 다시 컴파일하고 -> 다시 배포하고... 이런 작업이 매번 반복된다면???  

=> > >그래서 프레임워크를 쓰는 것이다!!

5.

ojdbc안에 oracledriver.class가 있다

oracle이라는 패키지 안에 -> jdbc라는 패키지안에 -> driver라는 패키지 안에 -> OracleDriver라는 클래스가 !!

6.

1) 오라클 DB관련정보

url ( 그 드라이버class가 어디 안에 있는지) , user (유저네임), password, driver (패키지명~~.. 드라이버 클래스) 

오라클 1521 포트 : 데이터 접근할때 사용하는 포트. 혹은 실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할 때 사용. 오라클 DB접속 포트. 전용문! 

참고) mariaDB는 3306포트 사용.. 등등

xe : express edition. 무료버전


7. 아 이거 디벨롭퍼에서 들어가는 거랑 똑같구나 결국.. 

연결할때 -> 내가 내 로컬안 시스템 들어가는 거니까 localhost. 포트번호. xe

계정 로그인하고 ( user, password) 

여기에 드라이버로 자바와 오라클 연결


8. 서버는 고정아이피를 쓴다. 유동 쓸수없음

9. 빨간색S-> static

10. 사이트 접속하는거랑 똑같아

사이트 이름 적고 (url) , username, password적어서 로그인하고

그 사이트와 java를 driver가 연결해주고. 

driver는 static으로 바로 불러온다 - 

11. 함수에서 호출하는 방식으로 DB연결하기 : 안그러면 매번똑같은 url쓰고 유저네임쓰기 귀찮으니까!!

댓글 없음:

댓글 쓰기

0328 fdisk, mkfs, mount, fstab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