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elect insert delete update
2. 연산자 : =, <>, != , >, <
3. where절 활용
4. not ~~
select * from sungjuk where not uname = '대한민국';
select * from sungjuk where uname != '대한민국';
select * from sungjuk where uname <> '대한민국';
select * from sungjuk where uname not like '대한민국';
ex) where not uname = ~~어쩌구
5. between ~~and ~~ : =을 써주기때문에 셀렉트할 때 주의하기
6. in : 안에 셀렉트문 또 던질 수 있다. or보다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
ex) where uname in ('무궁화', '봉선화')
7. 오라클 내장함수 : count, max, min, aver 등등
8. alias : as는 생략가능 .
9. 셀렉트할때는 내가 쓴 칼럼명의 순번대로 가져오게 된다.
10.
데이터를 가져와서 자바단에서 가공하기보다 -
쿼리 한번 잘 날려서 가공된 데이터를 가져오자!!
데이터베이스는 sort가 아주 잘 되어있기 때문에 이용하면 아주 편리!
11. 정렬 : n 차 정렬이 가능.
1차 정렬에서 같은 항목이 나올경우 -> 2차정렬 -> 3차 정렬...
12. from where orderby select순으로 쓰는 연습하기. sql은 비절차적 언어
13. 원하는 데이터를 먼저 만들어 내고-> 맨 마지막에 정렬해서 가져온다 1. select insert delete update
2. 연산자 : =, <>, != , >, <
3. where절 활용
4. not ~~
select * from sungjuk where not uname = '대한민국';
select * from sungjuk where uname != '대한민국';
select * from sungjuk where uname <> '대한민국';
select * from sungjuk where uname not like '대한민국';
ex) where not uname = ~~어쩌구
5. between ~~and ~~ : =을 써주기때문에 셀렉트할 때 주의하기
6. in : 안에 셀렉트문 또 던질 수 있다. or보다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
ex) where uname in ('무궁화', '봉선화')
7. 오라클 내장함수 : count, max, min, aver 등등
8. alias : as는 생략가능 .
9. 셀렉트할때는 내가 쓴 칼럼명의 순번대로 가져오게 된다.
10.
데이터를 가져와서 자바단에서 가공하기보다 -
쿼리 한번 잘 날려서 가공된 데이터를 가져오자!!
데이터베이스는 sort가 아주 잘 되어있기 때문에 이용하면 아주 편리!
11. 정렬 : n 차 정렬이 가능.
1차 정렬에서 같은 항목이 나올경우 -> 2차정렬 -> 3차 정렬...
12. from where orderby select순으로 쓰는 연습하기. sql은 비절차적 언어
13. 원하는 데이터를 먼저 만들어 내고-> 맨 마지막에 정렬해서 가져온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