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22

0322 오라클 DB학습

1. DB관리하기

1) tablespace 에 datafile을 넣는다. 

tablespace에는 다수의 datafile이 들어갈 수 있다. 

2) connect : 접속권한, resource : 데이터베이스 안의 자원들을 이용할수있는 권한, dba: 데이터베이스 최고권한. db administrator

3) 권한부여하기 -> grant, 권한 뺏기 -> revoke .

ex) grant 권한1, 권한2 to 유저명;

ex) revoke 권한1, 권한2 from 유저명

4) create user 유저명 identified by 비밀번호 default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명;

5) drop user 유저명 (cascade) ; 

6) alter user 유저명 ~~ , alter tablespace ~~~ 

7) 하지만 나는 DBA가 아니니까,, 아마 이런 대단한 명령어를 쓸일은 별로 없을 것이다,,  내가 잘해야 하는것은 데이터 조작어!! (DML)!!

2. SQL문은 결과 중심적 언어 <-> 자바는 절차적 언어 

절차적언어 = 순서가 있다. 순차가 있다

반면 SQL은 순서대로 진행되지 않는다 ( 셀렉트문만 생각해봐도.. )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데이터를 뽑고 -> 그 데이터를 반 접어서 또 뽑고 -> 반복반복 . 

3. SQL 명령어의 종류 : DCL(control) , DDL (definition) , DML (manage)

1) DCL : grant, revoke, deny( 특정 사용자 접속 차단) / 호스팅 업체에서 주로사용

2) DDL : create, drop, alter /테이블및 DB에 대한 정의

3) DML :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레코드를 조작하는 명령어

insert는 없는 행을 추가하는 것 , update는 있는 행을 수정(갱신)하는 것

4.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다루는 일 : 매우매우매우 중요..!! 너가 가지고있는 자료 넘겨~~ 하는 유혹을 받기도 한다구 함... 직업윤리. 코드는 다시짜면 되는데 데이터는 없어지면 다시 짤수없음.. 

5. 테이블 생성하기 : 테이블명 - 한글x, 숫자x 

create table 테이블명 (

컬럼명1 컬럼타입 옵션,

컬럼명2 컬럼타입 옵션,....

(constraint ~~));

6. 테이블 설계하기 : 한사람에게 필요한 컬럼이 무엇무엇이 있는가? 를 먼저 생각. 

선생님 말씀 : alter를 많이 치는 것은 좋지않다... alter를 친다는 것은 처음에 스키마 설계를 잘못해서 이다 .... ( 무지 뜨끔 ㅋㅋㅋㅋ) alter를 안쓴다고 생각하고 설계를 첨부터 잘하자 !!

7.  column = field라고도 한다. ( java의 그 멤버변수field 생각하면 쉽다!! ) 

8. 

1)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명1, 컬럼명2 ,..) values ( 값1, 값2...) ; 

*주의사항 : DB는 무조건 String쓸때 작은따옴표이다!! java랑 헷갈리지 않기

2) 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명1 = 값1, 컬럼명2= 값2 ... ; 

3) delete 테이블명 (where~~);

4) 기타 : commit; rollback;

9. Oracle developer실행 -> name 적어주고 - >system 계정으로 새로 접속

10. sql 워크시트 생성 : 메모장 겸 sql을 동시에 실행할수있어서 편리하다. 

11. varchar -> 바이트 단위. 기본적으로 오라클은 한글 3바이트

예를들면1. DB관리하기


1) tablespace 에 datafile을 넣는다. 


tablespace에는 다수의 datafile이 들어갈 수 있다. 


2) connect : 접속권한, resource : 데이터베이스 안의 자원들을 이용할수있는 권한, dba: 데이터베이스 최고권한. db administrator


3) 권한부여하기 -> grant, 권한 뺏기 -> revoke .


ex) grant 권한1, 권한2 to 유저명;


ex) revoke 권한1, 권한2 from 유저명


4) create user 유저명 identified by 비밀번호 default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명;


5) drop user 유저명 (cascade) ; 


6) alter user 유저명 ~~ , alter tablespace ~~~ 


7) 하지만 나는 DBA가 아니니까,, 아마 이런 대단한 명령어를 쓸일은 별로 없을 것이다,, 내가 잘해야 하는것은 데이터 조작어!! (DML)!!


2. SQL문은 결과 중심적 언어 <-> 자바는 절차적 언어 


절차적언어 = 순서가 있다. 순차가 있다


반면 SQL은 순서대로 진행되지 않는다 ( 셀렉트문만 생각해봐도.. )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데이터를 뽑고 -> 그 데이터를 반 접어서 또 뽑고 -> 반복반복 . 


3. SQL 명령어의 종류 : DCL(control) , DDL (definition) , DML (manage)


1) DCL : grant, revoke, deny( 특정 사용자 접속 차단) / 호스팅 업체에서 주로사용


2) DDL : create, drop, alter /테이블및 DB에 대한 정의


3) DML :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레코드를 조작하는 명령어


insert는 없는 행을 추가하는 것 , update는 있는 행을 수정(갱신)하는 것


4.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다루는 일 : 매우매우매우 중요..!! 너가 가지고있는 자료 넘겨~~ 하는 유혹을 받기도 한다구 함... 직업윤리. 코드는 다시짜면 되는데 데이터는 없어지면 다시 짤수없음.. 


5. 테이블 생성하기 : 테이블명 - 한글x, 숫자x 


create table 테이블명 (


컬럼명1 컬럼타입 옵션,


컬럼명2 컬럼타입 옵션,....


(constraint ~~));


6. 테이블 설계하기 : 한사람에게 필요한 컬럼이 무엇무엇이 있는가? 를 먼저 생각. 


선생님 말씀 : alter를 많이 치는 것은 좋지않다... alter를 친다는 것은 처음에 스키마 설계를 잘못해서 이다 .... ( 무지 뜨끔 ㅋㅋㅋㅋ) alter를 안쓴다고 생각하고 설계를 첨부터 잘하자 !!


7. column = field라고도 한다. ( java의 그 멤버변수field 생각하면 쉽다!! ) 


8. 


1)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명1, 컬럼명2 ,..) values ( 값1, 값2...) ; 


*주의사항 : DB는 무조건 String쓸때 작은따옴표이다!! java랑 헷갈리지 않기


2) 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명1 = 값1, 컬럼명2= 값2 ... ; 


3) delete 테이블명 (where~~);


4) 기타 : commit; rollback;


9. Oracle developer실행 -> name 적어주고 - >system 계정으로 새로 접속


10. sql 워크시트 생성 : 메모장 겸 sql을 동시에 실행할수있어서 편리하다. 


11. varchar -> 바이트 단위. 기본적으로 오라클은 한글 3바이트


예를들면 varchar(9) -> 한글은 고작 3글자밖에 안들어가는 셈

댓글 없음:

댓글 쓰기

0328 fdisk, mkfs, mount, fstab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