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컨테이너끼리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법.>
- 특징
1) private ip를 부여받는다
2) embeded dns
1. bridge
- 디폴트
- 명시하지 않을경우 docker network create하면 브릿지로 만들어진다.
- 도커 컨테이너끼리 ip를 할당받으며 이 ip로 소통한다. host는 모름.
2. host
- 호스트와 소통가능
3. none
- 다른 도커 컨테이너들과 커뮤니케이션 할 수 없다.
--
특이사항!!
- 무지무지 짱인거-> 도커 컨테이너 명을 그대로 hostname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도커 짱이다.. 이제 vm 쓰지말구. 도커파일 하나 딱 작성해서. RUN커맨드 명시하구 끝일듯... 파일두 걍 마운트해서 공유하면되고.. 귀찮게 scp안해도 되구..
- 실제 프로덕션에서 도커 쓰는거는 고려해야 할거같은데 (넘 경량화라는 게 장점이자 단점인듯. 프로세스 죽이면 다 날라가는 것두 있으니..) 개발환경에서는 넘넘 활용가능성이 좋아보인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