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먼저 전세계를 region 으로 나누고
2. region을 zone으로 나눈다 . 실제로 물리적인 서버(하드웨어) 장비가 위치하게 된다.
3. zone은 region안에서 독립된 위치에 있지만 서로 네트워킹이 가능
4. 이렇게 zone을 나눈 이유는 쓰나미같은 자연재해 등에서 발생할 물리적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5. region과 zone에는 각각의 네이밍 label이 붙여져서 존재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