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DD 필요성
- 개발자 본인의 우연적 판단에 근거한 프로그래밍을 방지하기 위함
# TDD 정의
- 비지니스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
# 목표
- 제대로 동작하는 깔끔한 코드 작성
# 진행 방법
- 테스트 케이스 작성
- 테스트 케이스 통과할 수 있는 비지니스 코드 작성
- 리팩토링
- 반복
# 리팩토링 고려사항
- 중복코드 없는가?
- 이름 개선할 수 있는가?
- 소스코드 가독성은?
# JUnit 활용하기
- JUnit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데이터의 값을 직접확인후 테스트결과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 플래그의 색여부로 간단하게 테스트 통과여부 확인가능해진다.
## 흥미로웠던 점
- JUnit test class는 메소드 호출시마다 계속 자기자신의 생성자를 만든다.
각각의 테스트케이스를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클래스 자체를 리셋하는 것이다. 그래서 각각의 테스트 메소드들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메소드 4개, 생성자도 네번 각각 불리는 것을 확인할 수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