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7

0906 get, post, 퍼센트 인코딩

 1. get

입력한 매개변수값이 URI에 쿼리스트링으로 그대로 노출된다.

보안에 약할 수 있다.

부작용이 없다 = 언제나 같은 값을 보장한다. (정적)

내가 보낸 값이 그래도 URI에 저장되기 때문에 다른사람에게 그대로 페이지를 전달하기 용이하다.

글자수 제한이 있다(아마 255자 정도)


2. post

입력한 매개변수가 노출되지 않고body에 들어감.

글자수 제한이 없다.

get보다 보안에 강하다( 매개변수 노출x)

부작용이 있다 = 내가 보낸 결과가 항상 같은 페이지를 돌려주지는 않을 것이다. 


3. 퍼센트 인코딩

한글의 경우 어떻게 쿼리스트링으로 날라가는 것인가?

퍼센트인코딩( 앞글자에 %가 들어가는 식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그렇게들 부른다) 을 브라우저가 처리하여, 한글또한 읽힐수있도록 인코딩-디코딩 처리를해준다. 그래서 영어권의 언어가 아니어도 값을 전달할 수 있다. 


4. UTF-8 

원래는 아스키 값 사용 - but. 한글, 중국어 일본어 등등.. 아스키 코드(1바이트)로는 턱없이 표현불가능한 문자들이 있음

그래서 유니코드 사용 - 불변 크기. 무조건 4바이트로 통일함. 영어같은경우 1바이트면 표현할 수 있는데 얘는 무조건 다 4바이트로 처리함. 비효율적.

그래서 UTF-8이 등장했다. 언어별로 가변적 크기를 할당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바이트의 앞자리에 어떤 숫자가 오는가로 바이트 크기를 계산하고(1바이트줄지 2바이트 줄지 등등) 크기 할당함. 

댓글 없음:

댓글 쓰기

0328 fdisk, mkfs, mount, fstab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