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5

0905 웹을 지탱하는 기술

 1. 웹 뒷받침하는 기술

1) 서버 & 클라이언트 : 자원을 가지고 있는 쪽을 서버라고 부른다

2) 자원 요청 어떻게 하는가? : 자원을 식별해주는 주소 URI를 부른다.

2-2) URI의 구성 : sheme(방법. http 인지 ssh인지 그런것들) / 호스트명 ( 서버 컴퓨터의 ip주소) / 자원의 경로 

3) HTTP /1.1 : 서로다른 컴퓨터간에 통신을 하고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규약


2 . 동적컨텐츠와 정적컨텐츠

1) 동적컨텐츠를 생성해주는 기술 : CGI -> 요청시마다 프로세스를 새로 띄우기 때문에 효율성 매우 떨어짐

2) Servlet & JSP : 일단 프로세스 띄우고( 웹 컨테이너) 그 안에서 servlet이 request를 처리하기 때문에 효율 높다

3) 프레임워크의 필요성 : 비슷한 틀 만들어서 jsp servlet작업하는데 이부분을 프레임워크화해서 개발효율성을 높이자!


3. request header와 response헤더

통신규약(HTTP)에 정해진 내용들이 담겨있다.

이를테면 request header에는 어떤 method로, 어떤 uri에, 어떤 통신규약(HTTP 1.1) 으로요청할 것인지 의 내용이있다.

그외에도 accept라는 필드:내용을 살펴보면 수신할수있는 컨텐츠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나는 text/plain만 받을거야! 라고 설정하면. 그외의 요청은 수신할 필요가 없으므로 훨씬 효율적으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response헤더의 경우 contents도 담아야 하기 때문에 훨씬 길다.

한번의 요청 - 한번의 자원으로 이루어진다.사진이 많이 포함되어있는 요청이라면 그만큼의 요청 수가 날라간다. 


4. 사설 ip와 글로벌 ip 

ip주소 고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일정범위 이내에서는 사설ip만 사용함으로써 ip를 효율적으로 사용할수있게 되었다. 그래서 ip추적이라는 개념이 - 거의 불가능한게, 어짜피 밖에서 보이는 내 아이피는 글로벌 ip이다. 글로벌 ip는 계속바뀌기때문에 일개인이 이걸 바탕으로 주소를 알아내기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글로벌 ip는 해당 주변 ISP가 할당하는 것이므로, 그 근처이겠구나(?) 정도로까지는 알 수 있을지도..


5. 호스트명(ip)어떻게 알아내는가 ?

DNS가 ip를 인간이 기억하기 쉬운 영문주소로 변환해준다.


6. 포트번호

통신을 위해서는 URI뿐만아니라 포트번호도 필요하다. ip주소만으로는 해당 호스트 컴퓨터의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것인지 몰르기때문이다. 카카오톡으로 보냈는데 네이트온으로 오는 일은 없지 않은가. 일반적으로 웹의 경우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보통 80번을 사용한다. well-known-port라고 한다. 그래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때 우리는 포트번호를 굳이 붙이지 않아도 되는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0328 fdisk, mkfs, mount, fstab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