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2

0902 access log

 apache 의 경우, access_log 폴더 밑에 만들어진다.

이 로그는 액세스가 완료된 후 생성되기 때문에, 만약에 네트워크 장애로 정상적인 접속이 계속되서 지연될 경우 , 생성되지 않는다. 

이럴때는 L4를 끊은 후에, 다른 서버로 돌려주고, 로그를 찍고, 에러를 분석한다.

127.0.0.1 - frank [10/Oct/2000:13:55:36 -0700] "GET /apache_pb.gif HTTP/1.0" 200 2326

이제 로그 항목의 각 부분을 설명한다.

127.0.0.1 (%h)
서버에 요청을 한 클라이언트(원격 호스트)의 IP 주소이다. HostnameLookups가 On이라면 호스트명을 찾아서 IP 주소 자리에 대신 쓴다. 그러나 이 설정은 서버를 매우 느리게 할 수 있으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호스트명을 알려면 대신 나중에 logresolve와 같은 로그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 나온 IP 주소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컴퓨터 주소가 아닐 수 있다. 프록시 서버가 사용자와 서버사이에 존재한다면, 원래 컴퓨터 주소가 아니라 프록시의 주소가 기록될 것이다.
- (%l)
출력에서 "빼기기호"는 요청한 정보가 없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여기에 나올 정보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identd가 제공할 클라이언트의 RFC 1413 신원이다. 이 정보는 매우 믿을 수 없기때문에, 긴밀히 관리되는 내부 네트웍이 아니라면 절대로 이 정보를 사용하면 안된다. IdentityCheck가 On이 아니라면 아파치 웹서버는 이 정보를 알아보려고 시도하지도 않는다.
frank (%u)
이는 HTTP 인증으로 알아낸 문서를 요청한 사용자의 userid이다. 보통 이 값은 CGI 스크립트에게 REMOTE_USER 환경변수로 넘겨진다. 요청의 상태코드가 401이라면 (아래 참고) 사용자가 아직 인증을 거치지 않았으므로 이 값을 믿으면 안된다. 문서를 암호로 보호하지 않는다면 이 항목은 이전 항목과 같이 "-"이다.
[10/Oct/2000:13:55:36 -0700] (%t)
서버가 요청처리를 마친 시간. 형식은:

[day/month/year:hour:minute:second zone]
day = 숫자 2개
month = 숫자 3개
year = 숫자 4개
hour = 숫자 2개
minute = 숫자 2개
second = 숫자 2개
zone = (`+' | `-') 숫자 4개

로그 형식문자열에 %{format}t를 사용하여 다른 형식으로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format은 C 표준 라이브러리의 strftime(3)과 같다.
"GET /apache_pb.gif HTTP/1.0" (\"%r\")
클라이언트의 요청줄이 쌍따옴표로 묶여있다. 요청줄은 매우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다. 첫째, 클라이언트가 사용한 메써드는 GET이다. 둘째, 클라이언트는 자원 /apache_pb.gif를 요청한다. 세번째, 클라이언트는 HTTP/1.0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요청줄의 여러 부분을 따로 로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형식문자열 "%m %U%q %H"은 "%r"과 똑같이 메써드, 경로, 질의문자열, 프로토콜을 로그한다.
200 (%>s)
이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상태코드이다. 이 정보는 (2로 시작하는 코드) 요청이 성공하였는지, (4로 시작하는 코드) 클라이언트에 오류가 있는지, (5로 시작하는 코드) 서버에 오류가 있는지 알려주므로 매우 중요하다. 상태코드의 전체 목록은 HTTP 규약 (RFC2616 section 10)에서 찾을 수 있다.
2326 (%b)
마지막 항목은 응답 헤더를 제외하고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내용의 크기를 나타낸다.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내용이 없다면 이 값은 "-"이다. 내용이 없는 경우 "0"을 로그하려면 대신 %B를 사용한다.

출처: https://httpd.apache.org/docs/2.4/ko/logs.html

댓글 없음:

댓글 쓰기

0328 fdisk, mkfs, mount, fstab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