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Vue.js에서 컴포넌트간 통신을 할때, data를 넘긴다
2. 이때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내려가는 데이터를 props라고 부르고,
3. 하위 컴포넌트에서 상위 컴포넌트로 올려보내는 데이터를 event라고 부른다.
4. 과거 mvc패턴에서는 - 데이터가 여기저기의 페이지로 전달될때, 데이터의 흐름을 파악하기가 힘들었다.
그러나 컴포넌트 구조로 계층을 만들고 props와 event라는 문법을 도입함으로써, 데이터의 흐름을 파악하고 변경을 추적하기가 좀더 용이해 진 것이다.
5. 문법적으로는 - 상위(혹은 root Vue인스턴스) 컴포넌트에 하위 컴포넌트를 등록한다.
6.해당 상위 컴포넌트의 div안에 하위 컴포넌트 명으로 공간을 생성한다.
7. 상위 컴포넌트의 data속성안에 이름-값의 쌍으로 데이터를 등록한다.
8. 하위컴포넌트에서는 props속성으로 공간을 만들어주고.
해당 props를 연결짓는 것 - v-bind라는 문법을 이용한다!
백엔드하다가 프론트로 슉 콘텍스트 스위칭 하느라 조금 해맸다.
Vue를 script로 등록해주는 것을 잊지말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