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16

0816 Vue.js component란

 1. 우선 new Vue()로 Vue를 생성하면 - root가 등록된다.

2. 이 root하위에 여러개의 컴포넌트를 등록할 수 있다.

3. 컴포넌트 : 상위 컴포넌트, 하위 컴포넌트가 있다

4. 컴포넌트 등록방식 : 전역으로 할 수도 있고 지역으로 할수도 있다.

전역으로 할 경우에는 Vue.component('컴포넌트 이름' , '컴포넌트내용')을 적으면 되고

지역으로 할 경우에는 Vue 안의 components라는 속성을 이용하여 이안에 줄줄이 객체를 넣어준다.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경우 

var app = {} 이런식으로 선언하는데

앞에 다짤라내고 {}만 넣어서 좀더 간결하고 익명객체로 선언한다! 굳이 여러 객체명을 만들지 않는다.

실무에서는 전역컴포넌트로 등록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지역컴포넌트로 불러서 많이들 사용한다 - 왜냐하면, SPA를 제작할경우 아 이런 컴포넌트가 등록되어있구나 하고 한번에 파악하기 쉽기 때문이다.

지역컴포넌트 등록은 마찬가지로

components {

'컴포넌트명' : '컴포넌트내용'

}으로 등록한다. 자바스크립트는.. 저 뾰족괄호로 줄줄이 이어지는게 좀 웃기고 잼나다. ㅎㅎ


5. 지역컴포넌트 전역컴포넌트 그리고 인스턴스의 관계:

인스턴스밑에 지역컴포넌트로 생성할경우, 해당 컴포넌트는 해당 인스턴스에만 바인딩된다.

전역컴포넌트로 생성할 경우, 여러 인스턴스에 모두 기본적으로 등록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인스턴스는 하나만 생성하며, 지역컴포넌트로 등록하는것이 일반적이다. 굳이 여러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혼란을 부르지 않는다...!!!! new Vue는 한번만! 

댓글 없음:

댓글 쓰기

0328 fdisk, mkfs, mount, fstab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