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05

0805 스프링 배치 학습 정리2

 1. ExecutionContext 

: jobExecutionContext, StepExecutionContext 관련. 끊겼을 때 거기서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한다.

2. xxxListener

예를 들면 JobExecutionListener. 해당 Job의 전후에 처리할 메서드를 만들 수 있다. 해당 Listner를 implements해서 @Component로 올려도 되고, 

아니면 4.2xx부터는 @BeforeJob @AfterJob같은 어노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implements안하고 @Component로만 올린다음에 해당 어노테이션 붙은 메서드를 작성하여 좀더 다양한 메서드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Component로 등록안하고. 곧바로 @Bean으로 올려도  OK)

cf. skip관련 Listner도 있음. 어떤 로직 발생시 skip하고- skip할때의 상세한 설정 구현.


3. 청크지향 

chunk란 커밋의 단위이다. 

chunk가 없다면. 배치 실행 도중 에러발생으로 중단되었을 때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그러나 chunk단위로 커밋함으로써 해당 커밋이후부터 restart할 수 있게 된다.

4. ItemStream

ExecutionContext에서 데이터를 읽고. restrart가능하게 해준다?


5.

@Bean
public Job job() {
	return this.jobBuilderFactory.get("job")
				.start(stepA())
				.on("*").to(stepB())
				.from(stepA()).on("FAILED").to(stepC())
				.end()
				.build();

위의 경우에서. *가 먼저 오지만 스프링은 구체적인 조건을 먼저 보기때문에.
이경우 fail 이외는 A->B , fail시에는 A-> C로 이행한다.

여기서 on안에 들어가는 문자는 ExitStatus로. 얼마든지 커스텀이 가능함.
기본적으로는 BatchStatus랑 문자적으로는 동일해서. 걍 쓰면 되긴함.

댓글 없음:

댓글 쓰기

0328 fdisk, mkfs, mount, fstab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