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24

0524 스프링 프레임워크

 1. 프레임워크란 ? 

: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개발의 효율성을 향상시켜주는 도구. 

단점-> 설정해야할 항목이 많다는 것. 

그런데 스프링부트는 그러한 설정마저도 자동으로 해줌으로써 개발자가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게 도와준다. 


2. 의존성 주입(DI) 란? 

참조변수가 참조하는 실제 인스턴스가 외부에서 결정되도록 하는 것. 

이를 통해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도 환경설정만으로 변경사항을 관리할 수 있다. 


3. AOP란?

공통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를 모으고, 핵심기능이 공통기능의 코드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것. 이를 통해 응집성을 높이고 결합도는 낮추어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4. ViewResolver 란?

: 요청url을 view로 맵핑해주는 역할을 한다. prefix, suffix 설정가능. 

댓글 없음:

댓글 쓰기

0328 fdisk, mkfs, mount, fstab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