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18

0518 파라메터 name과 파라메터 value.. 헷갈린다!!

 

파라메터로 page와 gno을 넘긴다. 

page는 requestDTO안의 page라는 변수로 getter되어서 저장, 해당 게시글을 보여준다. 


넘길때는

이런식으로 넘기고... 
page속성값은 굳이 유저에게 보여주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hidden으로 처리해서 받는다. 



실제 페이지에 출력되는 결과를 보면 아래 test화면처럼 잘 value가 들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데 뭔가 좀 아리송~~~ 하다. 뭘까~~~ 내가 뭘 놓치구 있지~~~

그래.. 여기까지 다 좋다 이거야...

젤 아리송~~한것은 그 다음이다...



modify 버튼을 클릭하면 postMapping으로 컨트롤러가 받아낸다. 이때 받는 modelAttribute는 동일하게 requestDTO이다...... 이것은..... requestDTO객체 안에 page 멤버변수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것인가...? 

model.addAttribute("requestDTO", requestDTO.getPage())라고 했더니 그딴거없다면서 오류났었다..........

아!!!!
아아 나 지금 ModelAttribute라는 것과. addAttribute를 헷갈리고 있는것 같다!!!!!
개념을 다시 찾아보아야 겠다!!!!!
당연하다!!! 왜냐면 실제로 받는 파라메터명은 page이기 때문에!!
파라메터명을 맞춰주어야한다...!!


------------

1) 파라메터로 넘어온 값을 가지고 벡단에서 주무를수있다... 

2) 주물러서 새로운 파라메터를 심을수있다 (model.addAttribute)

3) 파라메터로 넘어온 값을 내가 원하는 ${파라메터value명}으로 바꾸어서(@ModelAttribute) 받을수있다. 이것은 ("key",${여기를 맘대로}) key가되는 파라메터명과는 별개... 우아아 먼가~~정말 알쏭달쏭~~~크악!


---------------

뭘헷갈리는지 알았다!!!!!

uri로 넘어오는 파라메터와 / form으로 넘어오는 파라메터를 헷갈리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0328 fdisk, mkfs, mount, fstab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