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layout을 참고하여 게시판의 기본 layout페이지 작성. 어제와동일하게-
th:block태그를 이용하여 fragment를 파라메터로 던져서- 레이아웃깔리도록!
Entity가 만들어지고 수정되는 시각은 모든 엔티티 공통으로 들어갈것이기에- 이러한 기법을 활용하면 반복코드를 줄일수있다!!!
@CreatedDate와같은 어노테이션을이용, springbootapplication 위에는 @EnableJpaAuditing 어노테이션 등록
이를위해서supperClass 어노테이션을 작성하고 ( = 테이블로는 만들지 말라!_ abstract class)
Entitylistener도 등록하여 이 class를 찾아낼수있도록한다.
이후 만들어지는 Entity들은 이 BaseEntity를 extends한다. 그러면 위와같이 자동으로 BaseEntity안의 컬럼이 붙어서 만들어짐!!
Querydsl을 사용하기위한 환경설정을 하고 다시 compile을 하면 위와같이 build된 class안에 자동으로 큐도메인객체가 생성되어있음을 볼 수있다.
----
그외) Gradle의 다양한 Task를 선택해서 build-clean을 할수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