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ervlet Context란?
유저가 요청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 그렇게 함으로써- 유저는 로그인을 유지하는등.. 계속해서 context -즉 문맥의 흐름을 유지하면서- 웹을 이용할수있게 되는 것이다.
Servlet Context의 종류(크기에 따라?) : application, request, session,( cookie )
2. Servlet이란?
-> 페이지들을 총괄해주는 녀석.
유저로부터의 요청정보를 총! 관리해준다. 그럼으로써 네트워크상의 자료들을 총괄관리. 호오호오.
3. session이랑 cookie는 역할은 동일함. cookie는 유저측에 저장하는 거라서- 보안문제있음. 둘중에 하나만 쓰면됨. 서버에 저장하냐 클라이언트에 저장하냐만 차이있음. 로그인할때 보통 근데 세션에 저장하지.. 쿠키에저장하진않을듯함..(내생각) 보안위험..
4. application이라는 공간은 단 하나. 따라서 모든 유저가 같은 값을 공유.
5. session은 윈도우를 바꾸어도 존재함. 각 유저마다 다른값.
6. 페이지 이동방법
1) <a href
2) <form action=""...
3) 자바스크립트 location.href이용
-----------------------------------------------------//여기까지는 application, session만 동일. 프론트단
BUT!!
4) forward : 페이지 이동이 되었을때 request값 유지한다!!!
-> jsp action태그사용할수도있고, requestDispatcher사용할수도 있음(참.. 스프링을 쓰면 편할텐데... 흑흑흑...)
5) redirect : 페이지 이동이 되었을때 request값 유지 X
7.
1) forward: url바뀌지않음. 부모페이지에 종속적. 그래서 request값을 유지하는 것임.
2) redirect: url바뀜. 부모페이지랑 손절. 그러므로 redirect하면서 값도 유지하고싶으면 session에 저장하거나 . 스프링에서는 - rttr로 보낼수도있구. 훗훗
그러므로 전달하는 값에 따라서 어떤 메소드를 사용할지 고려해주어야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