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라클 설치 (11g express edtion, XE라고도함)
상용버전. 내 pc에서만 돌아가는 무료 DB
2. MySQL Command Lined으로 접속하기
3. cmd에서 바로 접속하기
4.
아이디- 이름 - 데이터베이스 이름
주로 다 똑같이 하곤한다(관례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 ( ex), MariaDB))
안에 DB를 하나씩 주고
그 DB안에 테이블을 만드는.
5. 오라클의 경우 아이디를 발급해주고 - 테이블 스페이스를 주는 식
(한개 아이디, 테이블 스페이스 Tablespace. 공간)
테이블 스페이스 만들고 -> 그 스페이스를 사용하는 계정 만들고 -> 그 계정에 권한 부여.
하나의 테이블스페이스 안에 데이터파일을 여러개 넣는다. 중소기업규모는 테이블스페이스1개에 데이터파일 1개. 대기업의 경우 데이터파일 여러개 만들기도 함.
ex) 학사관리시스템 Tablespace : datafile 1학년, datafile 2학년, datafile3학년
오라클의 tablespace = 타사의 database,
datafile = 타사의 table
오라클 선호 이유: 보안. 타사는 database = 아이디 1개로 관리하는데 오라클은 user계정 여러개 만들어서 권한다르게 해서 관리가능함!
6. cmd -> sqlplus꽝치기 -> system으로로그인 -> create tablespace
기타 편의사항 ) 바로 cmd에서 치기보다 우선 메모장에서 쳐보고 cmd로 ctl + V추천
7. select tablespace_name , contents from dba_tablespaces;
내가 가지고있는 테이블스페이스 정보 확인.
select * from dba_tablespaces; 하면 모든 정보 확인할 수있음
8. create한 tablespace에 유저 생성하기
create user 유저이름 identified by 비밀번호 default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명;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