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19

0319 파일 입출력

1.  파일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것 :  

            파일 경로 + 파일 이름 + 확장자 =  Stirng pathname으로 변수잡고

2. File클래스의 생성자에 담는다!! URI를 넘기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서버에 있는 파일을 다루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

3. File 클래스- 다양한 메소드를 가지고 있다. 

    ex) size() :파일의 크기(용량) 을 알수있다. byte 단위이므로 KB를 알고싶으면 /1024필요. 

        getname, getPath, getAbsolutePath , isDirectory (파일 클래스는 디렉토리도 다룬다) , isFile, mkdir, mkdirs 등등

4. 파일 읽기

    1) 파일을 가져온다. 

    2) 파일을 Reader 혹은 inputStream에 넘긴다. 

    3) 자원을 close해준다.

주로 BufferdReader로 많이 읽는다. 왜냐면 ReadLine을 통해 한줄씩 효율적으로 읽을수있기 때문이다. 

FileReader에게 File클래스 혹은 파일의 * 파일경로 + 파일이름 + 확장자 * 로된 스트링을 넘긴다. 

FIleReader를 BufferedReader가 감싸서 ReadLine으로 읽는다. 

5. FileReader : Character(2바이트) 씩 읽는다

FileInputStream  : 1바이트씩 읽는다 (한글꺠짐)


6.

FileWriter -> boolean append 값도 생성자에 함께 넘길 수 있다. 

 PrintWriter -> Writer 를 생성자함수에 받는다. 


안넘기면 기본적으로 autoFlush는 false로 설정되어있다. 

반드시 쓰고 난 후에 flush()를 해서 버퍼( 데이터들이 지나다니는 통로) 를 청소해줘야 한다. 

안그러면 다른 데이터들이 지나갈때 방해가 된다! 길막금지! 

입력의 경우 읽고자하는 데이터가 없으면 익셉션이 뜨지만.

출력의 경우 읽고자 하는 데이터가 없으면 new해주고. 있으면 append 하거나 덮어써준다.

 

FileWriter : write할때 개행하고싶으면 \n써줘야하는 불편함 있음

PrintWriter -> println메소드 이용해서 개행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

댓글 없음:

댓글 쓰기

0328 fdisk, mkfs, mount, fstab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