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28

0328 fdisk, mkfs, mount, fstab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템으로 만들것인지 -t type옵션으로 만든다. 

4. mount를 하여 실제로 데이터를 저장할수 있도록 (리눅스가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든다. 

mount -t xfs -o defaults /dev/sdb1 이런식으루 옵션지정해서 하면. 일시적인 마운트가 되어 reboot 할시 마운트가 해제된다. 

영구 마운트를 하고 싶은 경우 /etc/fstab파일에 작성하고 mount -a 를 적용한다. 

2022-03-24

0324 ubuntu gateway 확인하기

 



route -n 명령어를 사용하여 destination 및 gateway를 확인할수있다!

0324 ubuntu multi gateway 설정

 이상하게 우분투에서 network interface 여러개 해놓은경우 둘중의 하나만 적용되는 상황발생 ( 그것도. netplan 최신버전에서만. ) centOS는 문제없는데 왜 얘만 이러나. 했음

gateway가 여러개인경우 가상환경에서 충돌한다고함


http://blog.engintruder.com/257

<<위 블로그에서. 힌트를 찾을수있었다!!!




라우팅을 명시적으로 하여 풀었다!!
enp0s3에는. 외부인터넷망으로 향할거니까 0.0.0.0/0으로 to하고. 
게이트웨이설정해준다! (여기서는. 호스트pc가 자동으로 dhcp할때 설정해준 게이트웨이가 된다)

enp0s8은 내부인터넷 
- to 에는 서브넷을(향하는곳)
via 에는 게이트 웨이 설정!!

이제 인터넷도 되고. 내부 통신도 됨 ㅋ개굿 ㅋ

더불어. route 명령어를 통해서 gateway를 확인할수있다는것도 알았다~!

2022-03-19

0319 도메인에 SSL적용

 1. 도메인 생성(무료도메인사이트이용)

2. AWS route53 이용해서 네임서버 업뎃

3. nginx설치

4. site-enabled의 디폴트 없앤다(nginx 페이지로 direct하므로 귀찮아짐)

- 주의사항 - 여기에 쓰는 파일이름은 도메인이름(내가 public하게 열고자 하는. 서브도메인 포함해도 oK)와 일치해야한다

5. 443포트, 80포트열고

6. certbot이용하면

자동으로 443적용완료!

2022-03-13

0313 docker command old/new

 1. old 버전

-대상이 명확하지 않음

ex) docker ps

2. new 버전

- docker <대상> <커맨드> <옵션>

ex) docker container ls -a

docker image ls

docker network ls 등등

- docker --help

혹은

- docker <대상> --help로 탐구할수있다

2022-03-12

0312 docker disk 100점유하는 현상

 - 이상했다. 오늘 메모리 32G 장착해서 총 메모리 40G니까 분명 샥샥 돌아가야되는데 여전히 도커만띄우면 버버벅 대면서 돌아가지가 않는거다... 

- 나는 wsl을 이용해서 도커&쿠버네티스 띄워서 사용하고있었는데 알고보니 이 wsl에 memory점유 사용설정이 있었더라. memory=8gb로 한계치 재설정(원래는 2gb였다 그래서 속도 이따위였구나..)셧다운한뒤 (자동으로 재시작된다) 다시시도.. 

- 와!! 설정 바꾸고 나니까 디스크 사용량이 10퍼 내외로 줄었다 미친 ㅋㅋㅋ

- 더불어 wsl명령어도 엄청 빨르게 잘먹는다.. 메모리 최고네;.. 다다익램은 과학이다~

- 12G까지 한계치를 늘렸고, 현재 메모리 사용량 15G이다.. 이거 진짜 메모리 안늘렸으면 어쩔뻔했냐.. 이래서 macOS에서도 버벅댔구나. 얘는 총 메모리16G밖에 안댐. 

2022-03-06

0306 docker + mysql

  - previleged 모드

: MYSQL 실행하는데 디렉토리 못만든다고 에러떠서 넣고 실행 (도커의 권한문제인듯)

- 도커 컨테이너를 구동시키는 호스트의 ip : inspect키워드로 확인

- 도커를 돌리는호스트의 포트번호 열려있으면 해당 포트 충돌나니까 안쓰는 포트로 포트포워딩 하기

- my.cnf설정하기

0328 fdisk, mkfs, mount, fstab

 1. 하드디스크를 붙인다. 2. fdisk -l로 하드디스크를 확인한다.  - interactiive한 커맨드모드 사용하여 (m) 붙인 하드디스크의 파티셔닝을 한다.  - 마지막에 w를 해야 실제로 반영이 된다.  3. mkfs를 하여 어떤 파일시스...